Ⅰ 언약신학
- 서론 -
보혈은 성경 속에 가장 위대한 진리이며 성경 속에 보화이다
베드로는 벧전1;18-19 특히 18망령된 행실에서 구속된 것은 은이나 금이 아니라
19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한 것이라고 하였다
말틴루터는 성경을 짜면 두 줌의 피가 나온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보혈이 없이는 죄사함도 구속도 구원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혈은 성경 속에 가장 위대한 진리요 보화라 하겠다
신약성경에 예수님의 말씀이 붉은 글씨를 쓴 것은 성경은 피 글이기 때문이다
요일 3;6-8 참조 특히 8절은 물과 성령과 피는 하나니라고 말씀하고 있다
1 보혈과 언약
보혈을 성경에서 언약이라고 말씀하고 있다
언약이란 약속이란 뜻이다
다시 말해 죄를 지은 인간에게 죄사함과 구속 구원을
위해서 하나님이 제정하신 것이다
유월절도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약속의 성취이다 출2;24
문제는 언약은 다른 말로 약속이다
약속에는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1) 반드시 양자가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보혈로 구속을 약속 하셨으나 구하여야 받게된다
그 말씀 속에는 보혈을 뿌리고 바르라는 의미이다
2) 하나님은 이미 지키시고 계시고 앞으로도 지키신다
성경은 보혈이 없음은 구속도 없다고 말씀하고 있다
나는 약속을 지키고 있는가??
2 보혈의 오해
많은 사람들은 보혈에 대하여 오해하고 있다
목사님들 평신도에 이르기 까지 보혈을 지식적으로는 다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보혈의 중요성을 말하면서도 잘 알지를 못 한다
보혈은 주님이 우리를 위해 부어주셨다
그럼으로 구속함을 받았고 구원을 받았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여기에서 오해가 생긴다
현재완료형의 보혈을 생각하나 성경은 현재진행형으로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보혈은 과거도 필요하고 현재도 필요하고 미래도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출12;14,12;24참조
더 안타까운 것은 보혈에 대하여는 관심이 없고 오히려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다
성경을 연구해보면 12제자들과 사도들도 보혈에 대하여 말한 사람은 바울, 베드로 요한밖에는 없다
3 언약의 종류
본래 하나님의 창조함을 입은 인간은 에덴이라는 행복의 동산에서 행복의 삶을 약속받았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보다 뱀의 말 다시 말해 사단의 말을 따랐기 때문에 낙원을 잃고 영육의 사망에 처하였다
그 이유는 주님은 선악과를 먹는 날에는 죽는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사랑이 시지만 한편으로 공의의 하나님이시요
약속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하나님도 어쩔 수가 없으시다
(1) 언약의 종류
1) 행위언약
하나님과 아담(사람)이 맻은 언약
내용-순종을 전제로 함 순종하면 영원히 살고 행복함
불순종하면 영육이 죽고 행복의 동산에서 나고 저주를 받음
하나님이 언약에 우의를 차지함 (인간의 연약성}
결과-아담과 이브의 범죄로 동산에서 쫒겨 나고 죄를 지음 사망과 저주와 낙원을 잃음
하나님의 자녀의 자격을 상실 하나님께 외인이 됨 엡2;11참조
2) 구속언약 (보혈 언약)
범죄 한 인간아담 때문에 그 죄의 전가는 모든 인류에게 미쳤고
자연 피조물에게도 앞으로도 죄의 전가는 계속됨
다시 말해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저들을 구원하기 위하여 또 하나의 언약을 준비하셨는데
창3;21 가죽옷을 지어 입히심 요1;29 세례요한의 예언 그것이 구속언약 이였다
구속언약은-하나님과 예수님이 맺은 언약이다
타락한 인간은 언약의 주체가 될 수 없다
범죄 한 인류를 구하기 위하여 죄가 없으신 성자가 대신 죄인이 되셔서
죽으시고 피흘리셔서 구속하시고 구원하시게 하신 것이다 찬송가403참조
이것이 하나님의 사랑이요 구속언약의 방법이다 롬5:8-11
다시 말해 언약의 본질과 목적 은 보혈을 흘리심이다
안타까운 것은 교회가 십자가는 말하는데 보혈을 말하지 않고 있다
3) 은혜언약
은혜 언약이라 함은 주님의 구속사역을 믿음으로 받아드리고 믿는 것이다
주님이 이 땅에 오심은 우리 죄를 사하시고 구원 하시려오셨다
그런데 범죄 한 인간의 죄 값은 모든 자연 피조물 에게 임하였으나
구원의 언약은 선택된 자에게 국한 한다
칼빈은 제한 속죄라고 하였다
당신의 이름의 뜻이 말하고 있다 마1;21,23찬186,184참조
주님이 오신 목적이 피흘리려 오셨다
요19;30 보혈을 다 흘리신 후에 다 이루었다 하시고 영혼이 돌아가셨다고 하셨다
다만 우리는 그 피를 믿고 믿음으로 죄를 날마다 씻어야한다
다시 말해 보혈로 씻고 보혈의 믿음을 가져야 한다
4 주님의 사역과 구원
주님이 이 땅에 오셔서 구원의 역사적인 사건이 6가지이다
성탄-십자가 피 흘리심-부활-승천-성령강림-재림이다
물론 모두가 중요하다 어느 것 하나 귀중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나 가장 귀한 것은 피 흘리심이다
그 이유는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이유가 피 흘리려 오셨기 때문이다 마20:28 마16;21-23참조
1) 성탄은 범죄 한 인류를 대신하여 죄사함과 구원을 위해 오셨으니 이는 이미
창세기 3;15,21 약속에 의하여 오셨다
2) 십자가-많은 사람은 십자가라고만 한다
피가 없는 십자가는 사형 틀에 불과하다
우리가 십자가를 기독교 표상이요 표지임은 그곳에서 보혈을 흘렸기 때문이다
3) 부활- 피 뿌림을 통하여 구속함을 입은 성도의 승리이다
4) 승천-요14:1-3 천국 준비를 위해 가심이지만 우리 죄를 구속하려 오심이니 피 흘리려 오셨다가 사명을 완수하시고 승귀 하심이다
본래 하나님이 시지만 우리 죄를 구속하기 위하여 잠시 인간이 되시고 비하하셨다
5) 성령강림-복음전파가 목적이다 행전1;4-8 마28;19-20
그러나 벧전 1;2 피 뿌림을 위하여다 요일3;6-8참조
재림-성경은 재림을 360여회나 약속하셨으나 아직 오시지 않으심은 피 뿌림이 없기 때문이다
성탄에서 성령강림 까지는 3년 반이고 십자가 보혈 사건 후 성령강림까지는 불과53일 걸렸지만 아직 오지 않으심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주님은 속히 오신다고 하셨다 계22;20
5 보혈과 복음
성경에는 보혈이 숨어있다
롐33;3 네게 부르짖으라 내가 응답 하겠고 크고 비밀한 것을 가르치리라고 하였다
성경이란 특별계시이다 이는 뚜껑을 열다란 뜻이다 다시 말해 숨어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그렇게 알고 있다 그리고 가르치고 있다
보혈은 주님이 이미 부어주셨다고 물론 필자도 그걸 믿는다 주님의 주권이요 택한 자에게 주님이 피를 부어 주셔서 구원하심을 믿는다
하지만 성경은 우리에게 묻고 있다 보혈이 있느냐고
요6;54 행전1장에는 주님은 성령세례를 약속이라고 하셨다 행1;6
베드로도 성령을 선물이요 행2;17 남종과 여종에게 모든 육체에 부어 주리라고 하였고
주님도행1;5너희는 몇 날이 못 되어 성령으로 세례를 받으리라고 하셨다
그러나 약속을 들은 사람은 500명이나 받은 자는 120명 이였다
모든 육체에게 부어 주리라고 하였으나 능력의 성령세례를 받은 사람은 소수이다
주님의 보혈도 마찬가지이다 받은 자보다 받지 못한 자가 많고 아는 자보다 모르는 자가 많다
6 구약의 보혈과 신약의 보혈
1) 구약은 짐승의 피를 드림으로 죄사함 받았다
이는 장차오실 그리스도의 보혈을 상징하는 것이다
그럼으로 구약은 그림자요 신약은 실체요 구약은 짐승의피 신약은 예수 피요
구약은 보이는 피요 신약은 보이지 않는 피요
구약은 상징의 피요 신약은 믿음의 피이다
2) 짐승은 정결하고 흠이 없어야 한다 이는 그리스도를 상징한다 벧전1;18-19
3) 재물은 소, 양, 염소, 비들기, 같은 짐승이다
비둘기는 산비둘기도 되지만 다른 짐승은 가축임을 볼 수 있다
4) 재물 된 짐승은 드리는 자가 안수하고 잡게 된다
이는 내 죄를 너에게 전가하니 우리 자신인 내가 죽어야 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 그리스도가 우리 죄를 위해 죽으심을 상징한다.
5) 짐승은 먼저 피를 받아 제단에 뿌리고 사람 사물 심지어 율법 책에도 뿌렸다
예수 피는 모든 곳에 다 필요하다는 뜻이다
6) 짐승은 피를 뺀 후에 각을 떼고 번제같은 경우는 완전 태워 연기를 드린다
이는 주님이 우리위해 온 몸과 영혼을 드림이다 신앙고백도 주님 지옥에 가심
7) 구약이든 신약이든지 영원까지 계속되어야 한다
누구든지 필요하다마26;28
'보혈신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보혈의 4가지능력 (0) | 2010.10.10 |
---|---|
[스크랩] Ⅵ 요한 1서와 보혈신학 (0) | 2010.10.10 |
[스크랩] Ⅲ.유월절과 보혈신학 (0) | 2010.10.10 |
[스크랩] Ⅱ 생명신학 (0) | 2010.10.10 |
[스크랩] Ⅴ 노아의 방주와 보혈신학 (0) | 2010.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