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양

[스크랩] 성경속에 나타난 WORSHIP DANCING

은빛그레이스 2010. 10. 15. 22:08

성경속에 나타난 WORSHIP DANCING

 

|

 

 

//

☆ 1. WORSHIP DANCING의 정의 ☆

단어적 의미 :
Worship(경배, 예배) + Dance(춤) = 몸으로 드리는 예배, 경배, 찬양
● Worship : 앵글로 색슨족의 Weothscipe → Worthship → Worship (가치를 어떠한 대상에게 돌린다)

1. 예배

① 사전적 의미
하나님께 경배와 고백과 기도와 감사와 같은 것을 통하여 하나님을 향한 존경과 숭배하는 마음과 경의를 표하는 것이다.
--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거듭난 사람이 그리스도의 성품과 구속의 역사를 인식하면서 살아계신 하나님의 성품을 기억하고 그분께 감사와 영광과 존귀와 찬양을 성령의 도우심으로 올려 드리는 것이다.

② 구약에서의 의미
* 봉사 또는 섬김(abedath)
구약 성서 전반에 걸쳐 예배의 본질적 의미이다. 히브리어에서 섬김(service의 의미)이란 단어는 종이나 노예라는 단어와 어원을 같이한다. 구약시대의 종의 개념은 비천하고 사로잡힌 것이 아니라 종과 주인간의 친밀한 관계를 의미한다. 종과 주인간의 연합된 관계는 비인간적 구속이 아니라 특권과 영광으로 받아들여졌다. 다윗이 자신을 '하나님의 종'이라 칭하였다.
* 엎드려 부복하다. 존경과 더불어 자신을 엎드리다(shachah)
하나님 앞에서의 바른 자세로 예배함을 의미한다.

③ 신약에서의 의미
* 손에 키스하다. 절하다. 엎드리다(proskuneo)
겸손과 사랑과 존경을 드려야 하는 내적인 마음과 몸을 꿇어 엎드리는 외부적 행위가 함께하는 것이다.

예배는
- 하나님과의 만남이다.
- 하나님께서 만드신 인간을 위한 선물이다.
- 오직 하나님을 위하여 존재한다.
- 하나님의 임재와 다스림에 대한 피조계의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 역동적인 힘이다.(예배할때 하나님의 마음을 가르쳐 주심 → 선교)
- 삶으로 열매가 드러나는 것이다.(순종하는 삶)

2. 찬양
찬양은 하나님의 인간창조 목적중 하나이다.
(사43:21 이 백성은 내가 나를 위하여 지었나니 나의 찬송을 부르게 하려 함이니라)
하나님의 성품, 내게 베푸신 구속의 은혜, 성령의 인도하심.... 이를 인정하며, 자랑하며, 칭찬하며, 기뻐하며, 감사드리는 모든 표현을 찬양이라 한다. (노래, 고백, 박수, 몸짓....)

☆ 2. WORSHIP DANCING의 이유와 목적 ☆

우리의 말이나 몸짓에 있어서 대상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대상이 있다는 것은 목적이 있다는 것이며 대상이 없는 것은 목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WORSHIP DANCING은 분명한 이유와 목적을 가지고 해야 한다. 그 이유는 대상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1. 찬양 받으실 대상 -- 하나님

2. 하나님께 찬양드리는 방법
시편21:13 여호와여 주의 능력으로 높임을 받으소서 우리가 주의 권능을 노래하고 칭송하겠나이다
시편89:5 여호와여 주의 기사를 하늘이 찬양할 것이요 주의 성실도 거룩한 자의 회중에서 찬양하리이다
시편101:1 내가 인자와 공의를 찬송하겠나이다 여호와여 내가 주께 찬양하리이다
시편139:14 내가 주께 감사하옴은 나를 지으심이 신묘막측 하심이라 주의 행사가 기이함을 내 영혼이 잘 아나이다
계15:12 또 내가 보니 불이 섞인 유리 바다 같은 것이 있고 짐승과 그의 우상과 그의 이름의 수를 이기고 벗어난 자들이 유리 바닷가에 서서 하나님의 거문고를 가지고
대상29:13 우리 하나님이여 이제 우리가 주께 감사하오며 주의 영화로운 이름을 찬양하나이다
* 입으로 드리는 찬양 *
시편98:4 온 땅이여 여호와께 즐거이 소리할지어다 소리를 발하여 즐거이 노래하며 찬송할지어다
시편98:5 수금으로 여호와를 찬양하라 수금과 음성으로 찬양할지어다
시편71:23 내가 주를 찬양할 때에 내 입술이 기뻐 외치며 주께서 구속하신 내 영혼이 즐거워하리이다
시편47:1 너희 만민들아 손바닥을 치고 즐거운 소리로 하나님께 외칠지어다
시편63:5 골수와 기름진 것을 먹음과 같이 내 영혼이 만족할 것이라 내 입이 기쁜 입술로 주를 찬송하되
* 악기로 드리는 찬양 *
시편33:2~3 수금으로 여호와께 감사하고 열 줄 비파로 찬송할지어다. 새 노래로 그를 노래하며 즐거운 소리로 공교히 연주할찌어다
시편47:5 하나님이 즐거이 부르는 중에 올라가심이여 여호와께서 나팔 소리 중에 올라가시도다
시편98:5~6 수금으로 여호와를 찬양하라 수금과 음성으로 찬양할지어다. 나팔과 호각으로 왕 여호와 앞에 즐거이 소리할지어다
대상23:5 사천은 문지기요 사천은 다윗의 찬양하기 위하여 지은 악기로 여호와를 찬송하는 자라
대하5:13 나팔 부는 자와 노래하는 자가 일제히 소리를 발하여 여호와를 찬양하며 감사하는데 나팔 불고 제금 치고 모든 악기를 울리며 소리를 높여 여호와를 찬양하여 가로되 선하시도다 그 자비하심이 영원히 있도다 하매 그 때에 여호와의 전에 구름이 가득한지라
삼하6:15 다윗과 온 이스라엘 족속이 즐거이 부르며 나팔을 불고 여호와의 궤를 메어 오니라
* 몸으로 드리는 찬양 *
시편47:1 너희 만민들아 손바닥을 치고 즐거운 소리로 하나님께 외칠지어다
시편63:4 이러므로 내 평생에 주를 송축하며 주의 이름으로 인하여 내손을 들리이다
시편134:2 성소를 향하여 너희 손을 들고 여호와를 송축하라
시편149:3 춤추며 그의 이름을 찬양하며 소고와 수금으로 그를 찬양할지어다
시편150:4 소고 치며 춤추어 찬양하며 현악과 퉁소로 찬양할지어다
출15:20 아론의 누이 선지자 미리암이 손에 소고를 잡으매 모든 여인도 그를 따라 나오며 소고를 잡고 춤추니
대상15:29 여호와의 언약궤가 다윗성으로 들어 올 때에 사울의 딸 미갈이 창으로 내어다보다가 다윗왕의 춤추며 뛰노는 것을 보고 심중에 업신여겼더라
렘31:13 그 때에 처녀는 춤추며 즐거워하겠고 청년과 노인이 함께 즐거워하리니 내가 그들의 슬픔을 돌이켜 즐겁게 하며 그들을 위로하여 근심한 후에 기쁨을 얻게 할 것임이니라
시편87:7 노래하는 자와 춤추는 자는 말하기를 나의 모든 근원이 네게 있다 하리로다
시편95:6 오라 우리가 굽혀 경배하며 우리를 지으신 여호와 앞에 무릎을 꿇자
행3:8 뛰어 서서 걸으며 그들과 함께 성전으로 들어 가면서 걷기도 하고 뛰기도 하며 하나님을 찬미하니
삼하6:14~16 여호와 앞에서 힘을 다하여 춤을 추는데 때에 베 에봇을 입었더라. 다윗과 온 이스라엘 족속이 즐거이 부르며 나팔을 불고 여호와의 궤를 메어 오니라. 여호와의 궤가 다윗성으로 들어올 때에 사울의 딸 미갈이 창으로 내다보다가 다윗왕이 여호와 앞에서 뛰놀며 춤추는 것을 보고 심중에 저를 업신여기니라
렘31:4 처녀 이스라엘아 내가 다시 너를 세우리니 네가 세움을 입을 것이요 네가 다시 소고로 너를 장식하고 즐거운 무리처럼 춤추며 나올 것이며

3. 하나님께 찬양해야 할 이유

4. 하나님께 찬양해야 할 목적
시편 47:7 하나님은 온 땅에 왕이심이라 지혜의 시로 찬양할지어다
시편 135:3 여호와를 찬송하라 여호와는 선하시며 그 이름이 아름다우니 그 이름을 찬양하라
출15:2 여호와는 나의 힘이요 노래시며 나의 구원이시로다 그는 나의 하나님이시니 내가 그를 찬송할 것이요 내 아비의 하나님이시니 내가 그를 높이리로다
사25:1 여호와여 주는 나의 하나님이시라 내가 주를 높이고 주의 이름을 찬송하오리니 주는 기사를 옛적의 정하신 뜻대로 성실함과 진실함으로 행하셨음이라
시편47:6 찬양하라 하나님을 찬양하라 찬양하라 우리 왕을 찬양하라
시편71:5 주 여호와여 주는 나의 소망이시요 나의 어릴 때부터 의지시라
시편54:4~7 하나님은 나의 돕는 자시라 주께서 내 생명을 붙드는 자와 함께 하시나이다. 주께서 내 원수에게 악으로 갚으시리니 주의 성실하심으로 저희를 멸하소서. 내가 낙헌제로 주께 제사하리이다. 여호와여 주의 이름에 감사하오리니 주의 이름이 선하심이니이다. 대저 주께서 모든 환난에서 나를 건지시고 내 원수가 보응받는 것을 나로 목도케 하셨나이다
대하23:18 여호야다가 여호와의 전의 직원을 세워 제사장 레위 사람의 수하에 맡기니 이들은 다윗이 전에 그 반차를 나누어서 여호와의 전에서 모세의 율법에 기록한대로 여호와께 번제를 드리며 자기의 정한 규례대로 즐거이 부르고 노래하게 하였던 자더라
사12:5 여호와를 찬송할 것은 극히 아름다운 일을 하셨음이니 온 세계에 알게 할지어다
렘20:13 여호와께 노래하라 너희는 여호와를 찬양하라 가난한 자의 생명을 행악자의 손에서 구원하셨음이니라
고전14:15 그러면 어떻게 할꼬 내가 영으로 기도하고 또 마음으로 기도하며 내가 영으로 찬미하고 또 마음으로 찬미하리라
시편96:2 여호와께 노래하여 그 이름을 송축하며 그 구원을 날마다 선파 할지어다
히13:15 이러므로 우리가 예수로 말미암아 항상 찬미의 제사를 하나님께 드리자 이는 그 이름을 증거하는 입술의 열매니라
단4:37 그러므로 지금 나 느부갓네살이 하늘의 왕을 찬양하며 칭송하며 존경하노니 그의 일이 다 진실하고 그의 행하심이 의로우시므로 무릇 교만하게 행하는 자를 그가 능히 낮추심이니라

☆ 3. WORSHIP DANCER의 기본 ☆

모든 크리스챤의 기본이기도 하다.

1. 회개 : 성결과 거룩이 필수이다. 정결한 그릇이 되기위해 온전한 예배자로 서기위해 날마다 깨끗하게 씻어내는 삶이 되어야한다.
(벧전 1:16 기록하였으되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찌어다 하셨느니라)

2. 기도 :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 관계회복을 위해 필요하며, 대화를 통해 하나님의 계획과 응답을 알게 된다.
(살전 5:17 쉬지 말고 기도하라)

3. 말씀 : 하나님을 더 잘 알고, 그 분의 성품과 계획, 응답을 정확히, 바로 알기 위해 말씀이 기본되어야 한다.
(딤후3:15~16 또 네가 어려서부터 성경을 알았나니 성경은 능히 너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는 지혜가 있게 하느니라.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이 세가지가 반석이 되지 않는다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도, 하나님께서 기쁘게 흠향하실 수도, 온전한 예배와 찬양이 될 수도, 악한 세력을 제압하여 영적전쟁에서 승리할 수도 없다. 그저 춤에 그친다면 세상의 춤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테크닉보다 영성 즉 믿음이 중요하다. WORSHIP DANCING은 예배자, 찬양자 즉 구원받은 모든 크리스챤이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쁨의 극치를 표현한 춤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돌리는 것에 대해 감사하며 자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4. WORSHIP DANCING의 필요성 ☆

여호와 앞에서 찬양과 경배로 기쁨을 표현하기 위해 전신을 다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히브리어와 희랍어로 춤추는 것은 "뛰어 오름, 뛰어 넘음, 두발로 뛰어 오름, 껑충 뜀" 등의 어원을 갖고 있다. WORSHIP DANCING은 찬양의 새로운 방법으로 우리 몸의 아름다운 선율을 통해 살아 계신 하나님의 성호를 마음껏 찬양하는, 몸으로 드리는 기도이며 예배이고 우리의 신앙 고백이다. WORSHIP DANCING은 갇힌 정서를 풀어주고 억압된 우리의 심령을 해방시켜 줌으로써 메시지가 전달되는 새로운 복음 전파의 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워십댄싱은 그 자체가 메시지이며 불신자들의 마음 속까지 파고드는 놀라운 힘을 가진다.

 

☆ 5. 성경속에 나타난 WORSHIP DANCING ☆

1. 구약성경에서의 춤

① 신성한 대상 앞에서의 춤
삼하6:12-15 에서 여호와와 그의 법궤 앞에서 춤추는 다윗의 모습이 나온다. "혹이 다윗왕에게 고하여 가로되 여호와께서 하나님의 궤를 인하여 오벧에돔의 집과 그 모든 소유에 복을 주셨다 한지라 다윗이 가서 하나님의 궤를 기쁨으로 메고 오벧에돔의 집에서 다윗성으로 올라갈쌔 여호와의 궤를 멘 사람들이 여섯 걸음을 행하매 다윗이 소와 살진 것으로 제사를 드리고 여호와 앞에서 힘을 다하여 춤을 추는데 때에 베 에봇을 입었더라" 다윗이 "여호와 앞에서 힘을 다하여 춤을 추었다" 는 것은 제의적 의미, 혹은 예배적 의미로서의 춤이 정당성을 지녔고 또한 신성한 것으로서의 특성과 권위를 지녔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춤의 성격은 "여호와 앞에서"라고 설정된 상황과 "베 에봇을 입었"다는 설명에서 더욱 분명해지는데, 여기에서 '베 에봇'은 제사장들이 그 직무를 수행할 때 입는 옷으로서, 춤이 제사장적 직임과 관련됨을 나타낸다.
또한 신성한 대상 앞에서의 다윗의 춤의 형태는 원어의 의미를 통해 발견되어질 수 있다. 본문에서 '춤추다'라는 동사 '(karkr)'는 '(kara)' 곧, '숙이다', '구부리다', '엎드리다'라는 동사에서 파생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신성한 대상 앞에서의 춤은 머리를 숙였다 들고, 허리를 굽히거나 세우는 '복배무(伏拜舞)'의 형태임을 알게 된다.
특히, 삼하 6:16의 내용을 볼 때 그 형태는 더욱 구체화된다. "여호와의 궤가 다윗성으로 들어올 때에 사울의 딸 미갈이 창으로 내다보다가 다윗왕이 여호와 앞에서 뛰놀며 춤추는 것을 보고 심중에 저를 업신여기니라" 여기에서 사용된 단어도 동일한 것으로 신성한 대상 앞에서의 춤의 형태가 머리를 숙이거나, 허리를 구부렸다가 펴서 뛰어오르기도 하는 형태임이 발견된다.

② 승리의 춤
구약성경에서 발견되는 승리의 춤의 형태는 주로 여인들에 의해 행해졌는데, 여호와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감사의 정서를 표출하는 의도에서 되어졌다.
먼저 출 15:20-21에는 미리암의 춤이 기록되어 있다. "아론의 누이 선지자 미리암이 손에 소고를 잡으매 모든 여인도 그를 따라 나로며 소고를 잡고 춤추니 미리암이 그들에게 화답하여 가로되 너희는 여호와를 찬송하라 그는 높고 영화로우심이요 말과 그 탄 자를 바다에 던지셨음이로다 하였더라" 본문에서의 춤은 출애굽의 대 역사를 이루어낸 이스라엘의 승리를 축하하는 것으로, 미리암의 주도에 따라, 여인들이 뒤를 따르며 구원에 손길을 베푸신 여호와께 찬양과 춤으로 기념하는 것이다.
이러한 승리의 춤은 삿 11:34 이하에도 나타난다. "입다가 미스바에서 돌아와 자기 집에 이를 때에 그 딸이 소고를 잡고 춤추며 나와서 영접하니 이는 그의 무남독녀라" 이는, 사사 입다의 승리 이후 되어진 개선 행렬에서 그의 딸이 소고를 들고 춤추며 승리한 아버지와 그의 군대를 맞이하러 나온 장면이다.
또한, 삼상 18:6에서도 승리의 춤이 묘사되어 있다. "무리가 돌아올 때 곧 다윗이 블레셋 사람을 죽이고 돌아올 때에 여인들이 이스라엘 모든 성에서 나와서 노래하며 춤추며 소고와 경쇠를 가지고 와 사울을 환영하는데" 블레셋에 대한 다윗의 승전보를 전해들은 여인들이 성에서부터 나아와 소고와 경쇠를 들고서 노래하며 행하였다. 이처럼 승리의 춤은 승리에 대한 축하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그 승리를 주신 하나님께 대한 감사의 표현이며, 그 정서를 공유하는 행위인 것이다.
이러한 승리의 춤의 형태를 살펴보면, 그것은 '원무(ring dance)'로 행해졌음을 알게된다.
위의 세 본문에서 사용된 춤에 대한 의미는 모두 (chil)' 혹은 '(chul)'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것인데 이는, '빙빙돌다', '둥글게 돌다', '몸을 비틀다'라는 뜻이다. 이것은 승리의 춤이 몸을 돌려가면서 원을 그리며 추는 형태임을 암시한다.

③ 위안의 춤
구약성경에서의 춤은 영적, 심리적 치유의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먼저 전 3:4에서는 고통에 대한 반전으로서의 춤이 나타난다. "울 때가 있고 웃을 때가 있으며 슬퍼할 때가 있고 춤출 때가 있으며"
또한 시 30:11에는 슬픔에 잠긴 우울한 영혼의 상태를 극복하는 다윗의 춤에 대한 기록이 있다. "주께서 나의 슬픔이 변하여 춤이 되게 하시며 나의 베옷을 벗기고 기쁨으로 띠 띄우셨나이다"
이러한 기록들은 당시의 춤이 생활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였으며, 특히 고뇌하는 내면의 치유와 고통의 생활에 대한 반전으로 여겨졌음을 알게 한다.
특히, 이러한 위안의 춤의 형태는 주로 '도약무(hopping dance)'로 보여진다.
전도서 3:4에서 사용된 춤과 관련하는 단어는 '(raqad)'인데 이는 '가볍게 뛰다', '깡충깡충 뛰다'라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 형태에서도 고통하는 인간의 모습에 대한 반전의 이미지가 명확히 드러난다. 물론, 시편 30:11에서는 '빙빙돌다', '둥글게 돌다'라는 의미의 '(chil)' 혹은 '(chul)'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어있기에 그 춤의 형태를 일반화하기는 다소 어렵지만, 시편에서의 춤의 형태가 승리의 춤의 그것과 동일함을 볼 때, 위안의 춤은 고통이라는 상황으로부터의 승리의 의미와 관련하면서 구약의 성도들에게 독특한 형태의 춤으로 행하여졌음을 알게 한다.

④ 절기의 춤
구약성경에서 발견되는 춤의 다른 형태로서 중요한 것은 절기에 되어진 춤이다.
출 23:14-16에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세 절기가 언급되는데, 무교절, 칠칠절, 맥추절이 그것이다. "너는 내년 삼차 내게 절기를 지킬지니라 너는 무교벼의 절기를 지키라 내가 네게 명한대로 아법월의 정한 때에 칠 일 동안 무교병을 먹을찌니 이는 그 달에 네가 애굽에서 나왔음이라 빈 손으로 내게 보이지 말지니라 맥추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내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종에 밭에서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여기에서, "절기"라는 단어는 '(chaggay)"라는 단어인데, 흥미롭게도 그것은 그 자체로 춤을 의미하고 있다. 이 명사는 '(chagag)'라는 동사에 파생되는데, 그것은 '춤추다', '앞으로 나아가다', '순례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원어의 의미는 춤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곧, 구약의 각 절기에서 이루어진 춤은 춤을 추면서 앞으로 행진해 나아가는 '행렬무(procession dance)' 혹은 행진의 춤의 형태인 것을 알 수 있다.

* 구약에서 춤의 특징 *
구약에서의 춤은 예술로서만이 아니라, 고도의 제의적인 상징으로까지 실연되어졌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이미 구약 시대에서부터 춤이 상당히 발전된 형태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그것이
예배와 존경, 승리의 축하, 심리적 치유, 다양한 의례적 기념 등의 의미로 일상(日常)과 제의의 다양한 차원과 관련되어 이루어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춤은 구약 시대로부터 발원하여 기독교 신앙의 전 포괄적(全包括的)인 영역들과 관련을 맺으면서 기독교의 중요한 자산으로 전승되어 왔음을 확인하게 된다. 특히 구약 성경의 원어의 용례들이 증거하고 있는 것과 같이 춤의 목적과 이유에 따라 다른 형태와
방법-'복배무(伏拜舞), '원무(圓舞)', '도약무(躍跳舞)', '행렬무(行列舞)'등-의 춤이 이루어졌음을
볼 때, 구약 성경에서의 춤의 종류와 형태는 이미 상당한 정도의 발전을 이루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신약성경에서의 춤

① 서민생활에서의 춤
신약성경에 나타난 춤은 서민들에게 흔히 있는 일로서 놀이나 여가 행위 혹은 각종 통과의례에서의 축하의 의미로 행해졌다.
먼저, 마 11:16,17에서는 놀이와 여가행위로서의 춤에 대한 간접적 언급이 있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이 세대를 무엇으로 비유할꼬 비유컨대 아이들이 장터에 앉아 제 동무를 불러 가로되 우리가 너희를 향하여 피리를 불어도 너희가 춤추지 않고 우리가 애곡하여도 너희가 가슴을 치지 아니하였다 함과 같도다 하였느니라. "
또한, 눅 15:25에는 소위 '탕자'의 귀향을 축하하는 연회에서의 춤이 예수 그리스도의 비유 속에 언급된다. "맏아들은 밭에 있다가 돌아와 집에 가까이 왔을 때에 풍류와 춤추는 소리를 듣고" 이러한 기록들은 모두 비유나 예화를 통해 제시된 것이기는 하지만, 오히려 설교나 담화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활용되어진 것보다 실제적인 예증들임을 볼 때, 서민 생활에서의 춤의 보편성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언급들은 예수께서도 춤을 일상적인 생활의 일부로 여기고 춤을 기쁨의 정서를 표현하는 하나의 정상적인 수단으로써 인정함을 뜻하고 있기에 그 중요성이 있다.

② 상류생활에서의 춤
신약성경에서는 서민 계층에서만 아니라, 상류계층에서 행해진 춤에 대한 언급도 구체화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내용으로 마 14:6 에서 보고되는 헤롯의 생일 연회에서의 춤이다. "마침 헤롯의 생일을 당하여 헤로디아의 딸이 연석 가운데서 춤을 추어 헤롯을 기쁘게 하니" 이 구절의 내용은 당시 유대 지역에서의 화려하고 사치스러운 궁내에서의 생일 축하제가 진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신약에서 춤의 특징 *
신약성경에서의 춤은 대체로 구약의 특성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신약시대를 포함하는 초대교회 시대에도 춤에 대한 기록들이 개진되어 있다. 비록 그것들이 주로 직접적인 형식으로 보고되어 있지만, 오히려 그 간접적인 기술에서 춤의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곧, 춤에 대한 직접적이고도 구체적인 언급이 결여된 것은, 춤이 신약 시대에 차지하는 의미가 박약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설명할 이유도 없이 대중에게서 일반적이며 보편적으로 행해지고 있었음을 증거하는 것이다.

 

☆ 6. WORSHIP DANCING의 성경적 근거 ☆

WORSHIP DANCING에서 사용되어지는 동작들은 성경의 말씀을 근거로 창작된다.

① 할랄 : (사43:21 이 백성은 내가 나를 위하여 지었나니 나의 찬송을 부르게 하려 함이니라)
찬송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할렐루야'의 어원이며 히브리어에서 유래되어 칭찬하는, 자랑하는(우쭐대는), 흥분하는(열광하는), 매우 시끄러움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으며 아주 뜨거운 마음으로 주님을 찬양하는 것에 쓰여졌다.

② 야다 : (시63:4 주의 이름으로 인하여 내 손을 들리이다)
(시134:2 성소를 향하여 너희 손을 들고 여호와를 송축하라)
손을 들고 경배함, 감사, 손을 들고 죄를 고백함의 뜻으로 쓰여졌다.

③ 걷기와 뛰기 : (행3:8 뛰어 서서 걸으며 그들과 함께 성전으로 들어가면서 걷기도 하고 뛰기도 하며 하나님을 찬미하니)
(삼하6:16 여호와의 궤가 다윗성으로 들어올 때에 사울의 딸 미갈이 창으로 내다보다가 다윗왕이 여호와 앞에서 뛰놀며 춤추는 것을 보고 심중에 저를 업신여기니라)

④ 손뼉치기 : (시47:1 너희 만민들아 손바닥을 치고 즐거운 소리로 하나님께 외칠찌어다)
교회에서 흔히 사용되어지는 방법이다. 이것은 찬양뿐 아니라 전쟁적인 멍에꺽기와도 관련이 있다.

⑤ 행진 : (수1:3 내가 모세에게 말한 바와 같이 무릇 너희 발바닥으로 밟는 곳을 내가 다 너희에게 주었노니)
영적 전쟁을 표현하는 것이나 승리의 확신, 또는 성도의 전진을 표현하거나 밟는 곳이 하나님의 주권아래 있다는 강한 선포를 표현할때 쓰여진다.

⑥ 밟는 동작 : (시44:5 우리가 주를 의지하여 우리 대적을 누르고 우리를 치려 일어나는 자를 주의 이름으로 밟으리이다)
(눅10:19 내가 너희에게 뱀과 전갈을 밟으며 원수의 모든 능력을 제어할 권세를 주었으니 너희를 해할자가 결단코 없으리라)
뛰기나 행진의 모습과 비슷해보이나 그 의미에 있어서 좀더 공격적인 적과의 싸움, 그리고 용맹한 전사의 승리에 대한 자신에 찬 동작이다. 실제 이러한 동작들은 악한 영들에게 강력한 무기로 사용되어지며 적들은 타격을 입게 된다.

⑦ 돌기 : (습3:17 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너의 가운데 계시니 그는 구원을 베푸실 전능자시라 그가 너로 인하여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를 잠잠히 사랑하시며 너로 인하여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
'즐거워하며'는 히브리어로 '거얼'인데 이것은 매우 강한 감정의 영향을 받아 빙글빙글 도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로 인하여 기쁨을 이기지 못하셔서 빙글빙글 도신다는 뜻이다.

⑧ 바락 : 무릎 꿇고 경배함, 머리 숙임, 송축함, 축복함의 뜻이 있다.

⑨ 토오다 : 감사함으로 손을 듬

⑩ 자마르 : 악기로 찬양함

⑪ 샤박 : 소리침, 큰소리로 승리를 선포함

그 밖에도 다양한 것들이 있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창작성으로 기쁨을 표현하는 동작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세상적인 동작을 아무 거름없이 받아들이는 것은 위험하며, 성경적인 맥락과 크게
위배되지 않고 기도중에 나온 동작이 바람직하다.

☆ 7. 창작의 기초 ☆

1. 곡분해
① 곡의 특징의 이해/곡의 배경을 파악한다
② 곡의 의도를 파악한다
③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정의한다(사전적 의미와 성경적 의미)
④ 의문들에 대한 여러 가지 질문들을 만들어 본다

2. 나의 표현으로
① 단어나 문장의 성경적 배경을 찾아본다(단어나 문장에 새로운 의미부여)
② 상징적 동작과 해설적 동작을 배분한다
③ 대상을 염두에 두고 난이도를 결정한다
④ 객관적 표현과 주관적 표현의 기로
객관적 표현 - 친근감은 있으나 지루하고
주관적 표현 - 설득을 필요로 한다

3.검증
① 청중들의 반응
② 불러일으킬 수 있는 오해의 소지
③ 융통성/교정의 가능성
④ 율동을 오픈하라
⑤ 힘의 균형을 고려하라
⑥ 방향성을 고려하라
⑦ 경제성을 고려하라

☆ 8. 율동과의 차이점 ☆

● WORSHIP DANCING - 하나님께 드리는 경배, 예배. 예배자와 예배 받는 자와의 일대일관계가 중요하다.
● 율동 (KOINONIA) - 성도간의 교제와 나눔, 화합. 모두가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간단한 반복 동작으로 구성되며, 가사를 그대로 표현한 동작이 쓰여진다.

출처 : 창골산 봉서방
글쓴이 : 봉서방 원글보기
메모 :